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If...Else

프로필사진
  • 태그
  • RSS

If...Else

검색하기 폼
  • 태그
  • RSS

css (6)
flex 속성을 활용한 중앙 정렬

세로 정렬 center .flex { display: flex; width: 200px; height: 100px; align-items: center; /* 세로 정렬 */ background: #ccc; } 코드 결과 화면 center 가로 정렬 center .flex { display: flex; width: 200px; height: 100px; justify-content: center; /* 가로 정렬 */ background: #ccc; } 코드 결과 화면 center JSFiddle 코드 보기 : https://jsfiddle.net/pilot376/po1qdk4g/16/

2019. 6. 12. 16:44
CSS 애니메이션 시작 종료 시점 이벤트

CSS 애니메이션 구동 시 자바스크립트에서 시작 종료 시점을 알 수 있다. html css div { width: 100px; height: 100px; background: red; position: relative; animation: mymove 2s linear forwards; animation-delay: 1s; } @keyframes mymove { from { top: 0px; } to { top: 100px; } } javascript var ani = document.querySelector(".ani"); ani.addEventListener("animationstart", function(e) { console.log("시작"); }, false); ani.addEventListen..

2019. 6. 12. 13:36
CSS 단위

em em은 font-size를 정의한다. em값을 이용해 폰트 사이즈를 지정하면 모든 자식 요소들은 body의 폰트 사이즈에 영향을 받는다. 테스트 body { font-size: 14px; } div { font-size: 1.2em; /* 14px * 1.2 = 16.8px */ } em으로 정의한 폰트 사이즈를 모든 자식 div 태그에 선언하면, div는 각 부모의 폰트 사이즈를 상속받아 점점 커지게 된다. 테스트1 테스트2 테스트3 rem rem의 "r"은 "root를 뜻한다. 최상위 html 태그에 지정한 사이즈를 기준으로 삼는다. html { font-size: 14px; } div { font-size: 1.2rem; } 테스트1 테스트2 테스트3 rem 사용 시 모든 div는 16.8px..

2018. 12. 17. 10:53
IE7 overflow:scroll 렌더링 이슈

마크업 11111111 22222222 33333333 44444444 55555555 66666666 77777777 88888888 99999999 00000000 태그에 position: relative 속성 있을 때 .container { width: 200px; height: 200px; overflow-x: hidden; overflow-y: scroll; border: 1px solid #ccc; } .list { position: relative; padding: 5px 0; } 태그에 position: relative 속성 없을 때 .container { width: 200px; height: 200px; overflow-x: hidden; overflow-y: scroll; border..

2014. 2. 17. 12:59
파이어폭스 textarea 렌더링 이슈

에 padding을 주면 파이어폭스(17.0.1)에서는 다른 브라우저들과 다르게 스크롤바 바깥쪽으로 여백이 생긴다. 매우 오래된(10년…) 이슈이고, 현재까지 완벽한 해결법은 없는듯하다. 작업 시 디자이너와의 협의가 필요해 보인다.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에서의 렌더링. 크롬 브라우저에서의 렌더링. 파이어폭스를 제외한 모든 브라우저에서 이처럼 스크롤바 바깥으로 여백이 생기지 않는다. 참조 URL http://forums.phpfreaks.com/topic/201677-firefox-incorrectly-padding-textarea/ https://bugzilla.mozilla.org/show_bug.cgi?id=157846

2013. 7. 13. 12:36
Base64 이미지 사용하기

Base64가 뭐지?? “Base 64″란 8비트 이진 데이터(예를 들어 실행 파일이나, ZIP 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Base64 이미지 사용 이 아이콘을 Base64로 인코딩하면 아래와 같은 문자값을 얻을 수 있다. (http://www.base64-image.de/) data:image/gif;base64,R0lGODlhDwAOAPYBAAAAAP///+Pj5MzS6qy33bfA4sDI5dne8I6e0JGg0Zim1Jqo1aGu2H6SyZOj0HWMxYWYytbY3V98vLG801p9ulN6u2SHw0JvtYiix8vU4TBmsDBmrx9fqyJgrEB1uGCOxRpeqoGjygdXpwlYpw5aqBVhrGOUx6C..

2013. 7. 12. 10:05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JSON.stringify
  • nginx
  • Android
  • AWS
  • 앱링크
  • axios-mock-adapter
  • 풋볼매니저 터치 2018
  • JavaScript
  • JSONPlaceholder
  • chrome
  • ubuntu
  • TDD
  • Git
  • 파이어폭스
  • vue.js
  • BASE64
  • javascipt
  • jekyll
  • dev tools
  • 유닛테스트
  • html
  • css
  • 렌더링 이슈
more
Total
Today
Yesterday

Pilot376's Log

티스토리툴바